lnb영역
집체교육
컨텐츠 내용
- 수강신청
- 과정정보
CM1 토목+조경+안전 특급과정 [최초]
과정소개
- 건설 분쟁 관리
- 식재기반으로서의 토양
- 서중콘크리트의 품질관리 사례(해외공사 비교)
- 보여지는 것과 만들어지는 것
- 공정관리 실무
- 건설공사 화재폭발 사고사례분석 및 대책
- 스마트컨스트럭션을 위한 3D 스캐닝촬영과 활용
- 디지털 레이아웃
- 국가계약법 및 계약금액 조정 실무
- 위험성 평가기법의 이해 및 적용사례
학습목표
교육대상
수료기준
평가기준 | 진도율 | 과제 | 최종평가 | 총점 |
---|---|---|---|---|
반영비율 | 20% | 20% | 60% | 100점 |
이수(과락)기준 | 90% | 60점/100점 | 60점/100점 | 70점 |
강사소개
- 강사명
- 남진권
- 강사약력
- 경영지도사(중소벤처기업부장관 제7016호)
- 건설경영법제연구소 대표
- 강사명
- 함광호
- 강사약력
- 석사(윤리교육)
- 기계안전기술사, 건설기계기사, 소방설비기사(기계), 산업위생기사
- (전)안전보건공단 국장
- 강사명
- 김민규
- 강사약력
-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, 지적기사, 사무자동화산업기사
- ㈜지오시스템 부장 측량학 및 실습, 토목 CAD
- 강사명
- 문병국
- 강사약력
- 3D scan 및 분석, 보고서 작성
- 빌딩포인트 코리아 과장 기술지원
- 강사명
- 박남규
- 강사약력
- 기계안전기술사, 산업안전지도사, 산업위생관리기사
-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
- 강사명
- 박광형
- 강사약력
- 학사(토목공학)
- 토목시공기술사, 도시계획기사,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, 건축기사, 소방설비기사, CVS
- (주)새우리건설건축사사무소 대표이사
- 강사명
- 최도승
- 강사약력
- 박사(건축공학)
- 건축사, 건축기사, CMP, APEC Engineering
- 문건건축사사무소 대표이사
차시 | 강의명 |
---|---|
건설 분쟁 관리 | |
1차시 | 건설분쟁과 건설공사 도급계약의 개요 |
2차시 | 건설공사 도급계약과 쟁점사항 |
3차시 | 건설엔지니어링(감리/CM)관련 쟁점사항 |
4차시 | 국가계약법령의 쟁점사항과 분쟁 해결방안 모색 |
식재기반으로서의 토양 | |
5차시 | 총론 및 토양의 기초 이해 |
6차시 | 토양의 물리성, 화학성과 토양수분 |
7차시 | 식재기반의 조성 기준 및 요건과 정비대책 |
서중콘크리트의 품질관리 사례(해외공사 비교) | |
8차시 | 서중콘크리트 특징, 문제점 및 품질관리 방안 |
9차시 | 서중콘크리트 관리대책 및 제조 |
10차시 | 레미콘 운반 및 타설 |
11차시 | 양생, 균열의 원인과 대책 및 이음 |
보여지는 것과 만들어지는 것 | |
12차시 | 조경에 대한 이해 |
13차시 | 시공을 고려한 설계 |
14차시 | 유지관리를 고려한 시공 |
공정관리 실무 | |
15차시 | 공정관리란 무엇인가? |
16차시 | 공정관리의 기대효과 및 공정표의 종류 |
17차시 | 공정표의 운영절차 및 작성 |
18차시 | 공기지연과 공정표 작성 |
건설공사 화재폭발 사고사례분석 및 대책 | |
19차시 | 건설공사 화재폭발예방과 안전 |
20차시 | 건설공사 단열재 화재사고 근원대책(종합) |
21차시 | 용접·용단작업 화재폭발사고 위험관리 |
스마트컨스트럭션을 위한 3D 스캐닝촬영과 활용 | |
22차시 | 3D 스캔 – 3D 이란? |
23차시 | 3D 스캔 – 장비 소개 |
24차시 | 3D 스캔 – 기본 인터페이스 |
25차시 | 3D 스캔 – 장비 구동 |
디지털 레이아웃 | |
26차시 | 디지털 레이아웃의 정의 및 현재와 발전방향 |
27차시 | 디지털 레이아웃의 소개 및 현장 활용사례 |
28차시 | 디지털 레이아웃의 운용 |
국가계약법 및 계약금액 조정 실무 | |
29차시 | 건설산업의 이해 |
30차시 | 정부계약의 이해 |
31차시 | 계약금액 조정 실무(설계변경) |
32차시 | 계약금액 조정 실무(물가변동 및 기타 계약내용의 변경) |
위험성평가기법의 이해 및 적용사례 | |
33차시 | 위험성평가 도입배경과 개념에 대한 이해 |
34차시 | 위험성평가 절차 및 관련법에 대한 이해 |
35차시 | 위험성평가 절차와 관련법 및 위험성평가 적용사례 이해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