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nb영역
수강신청
컨텐츠 내용
- 수강신청
- 과정정보
CM2 건축+안전 특급과정 [계속/승급]
과정소개
- 초고층 건설공사
- 건설회계와 세무실무
- 건설공사의 추락재해예방
- 건설 기술인의 소통과 공감
- 서중콘크리트의 품질관리 사례(해외공사 비교)
- 건설 신기술 지정 제도
- 설계 VE 개념 및 추진 절차
- 건설공사 원가관리
- 가설공사 안전관리 실무
- 디지털 레이아웃
- 기술자 책임 윤리
학습목표
교육대상
수료기준
평가기준 | 진도율 | 과제 | 최종평가 | 총점 |
---|---|---|---|---|
반영비율 | 20% | 20% | 60% | 100점 |
이수(과락)기준 | 90% | 60점/100점 | 60점/100점 | 70점 |
강사소개
- 강사명
- 이봉철
- 강사약력
- 박사(스포츠철학)
- 리더십지도사, 인문학지도사, KAC 인증코치, 판매사, 건축초급
- 알짜코칭 대표
- 강사명
- 박광형
- 강사약력
- 학사(토목공학)
- 토목시공기술사, 도시계획기사,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, 건축기사, 소방설비기사, CVS
- (주)새우리건설건축사사무소 대표이사
- 강사명
- 최도승
- 강사약력
- 박사(건축공학)
- 건축사, 건축기사, CMP, APEC Engineering
- 문건건축사사무소 대표이사
- 강사명
- 김수엽
- 강사약력
- 건축시공기술사, 건설안전기술사
- (사)한국건설안전기술사회교육원 수석전문위원
- 강사명
- 이호진
- 강사약력
- 건설안전기술사. 건설기계 설비기사. 크레인 검사원
- 유양기술(주) 기술이사(안전진단, 컨설팅)
- 강사명
- 양금숙
- 강사약력
- 인정세무법인 대표세무사
- 강사명
- 오재화
- 강사약력
- 건축시공기술사, 건설사업관리사(CMP), 건설VE전문가(CVP), 국제기술사
- ㈜도원ENG.건축사사무소 전무 (건설사업관리, 공사감리, 설계VE)
- 강사명
- 손명섭
- 강사약력
-CVS(미국VE 전문가)/CVP(건설VE 전문가), 미국VE 협회인증 강사(VMF1,VMF2)
- 상아매니지먼트 부사장 설계VE /LCC
- 강사명
- 김경훈
- 강사약력
- 건축공학 전공
- 건축기사, 건설안전기사
- 빌딩포인트코리아 차장
- 강사명
- 임종문
- 강사약력
- 토목시공기술사, 방재인증자(풍 수해), CVS, VMP
- (주)수성엔지니어링 부사장
차시 | 강의명 |
---|---|
초고층 건설공사 | |
1차시 | 초고층건축물의 개요 및 가설공사의 양중계획 |
2차시 | 초고층건축물의 공정단계별 가설계획 및 양중장비의 운영 |
3차시 | 초고층건축물의 골조공사, 철골공사 |
4차시 | 초고층건축물의 커튼월 공사 |
건설회계와 세무실무 | |
5차시 | 건설회계와 세무실무 1 |
6차시 | 건설회계와 세무실무 2 |
7차시 | 건설회계와 세무실무 3 |
건설공사의 추락재해예방 | |
8차시 | 추락재해 개요 |
9차시 | 추락재해예방 가시설 |
10차시 | 주요공종별 추락재해 예방 • 대책 |
11차시 | 추락재해 사례 연구 |
건설기술인의 소통과 공감 | |
12차시 | 소통과 공감의 의미 |
13차시 | 경청으로 시작하는 코칭 리더십 |
14차시 | 감성 리더십과 갈등 관리 |
서중콘크리트의 품질관리 사례 | |
15차시 | 서중콘크리트 특징, 문제점 및 품질관리 방안 |
16차시 | 서중콘크리트 관리대책 및 제조 |
17차시 | 레미콘 운반 및 타설 |
18차시 | 양생, 균열의 원인과 대책 및 이음 |
건설 신기술 지정 제도 | |
19차시 | 건설 신기술 지정 제도 1 |
20차시 | 건설 신기술 지정 제도 2 |
21차시 | 건설 신기술 지정 제도 3 |
설계 VE 개념 및 추진 절차 | |
22차시 | VE 개론 |
23차시 | VE 추진절차 및 방법 |
24차시 | 생애주기비용(LCC) 분석 |
25차시 | VE 사례 |
건설공사 원가관리 | |
26차시 | 공사원가란? |
27차시 | 공정관리 및 실행예산 편성 |
28차시 | 건설공사 원가관리 요령 |
가설공사 안전관리 실무 | |
29차시 | 가설 구조물 안전 1 |
30차시 | 가설 구조물 안전 2 |
31차시 | 가설 구조물 안전 3 |
32차시 | 가설 구조물 안전 4 |
디지털 레이아웃 | |
33차시 | 디지털 레이아웃의 정의 및 현재와 발전방향 |
34차시 | 디지털 레이아웃의 소개 및 현장 활용사례 |
35차시 | 디지털 레이아웃의 운용 |
기술자 책임윤리 | |
36차시 | 기술자 책임윤리 |